• 2023. 8. 4.

    by. 밈밈님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하던 시기가 끝나고 문상 많이들 가실 것 같아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상가에 도착하면 모자를 착용하거나 가방을 갖고 왔다면 문 밖쪽에 놓고 안 쪽으로 들어 가도록 합니다.

    상주에게는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향을 피워야 하는 경우 오른쪽으로 집어 향로 앞으로 놓는데 이때 왼쪽 손은 향을 감싸는 것 처럼 손목을 받칩니다. 향은 입으로 절대 불어서 끄면 안되며 가볍게 흔들어 끄고 향로에 꽂습니다.

    영좌 앞에 일어나서 묵념을 하거나 두번 절을 합니다. 일어난 뒤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거나 짧은 인사를 전하는데 고인과 관련된 이야기를 간단하게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참석 시 복장은 어두운 검정 계열의 옷을 착용합니다. 검정색 계열의 옷을 준비하기가 어렵다면 단정하게 입고 방문을 하도록 합니다. 맨발 보다는 양말을 착용하여 예를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조의금을 준비하는 것이 보통 예절입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고 가족의 평화롭게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좋은 마음으로 방문을 하도록 합니다. 추모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크게 소란하거나 웃지 않도록 주의 하세요 간혹 호상이라는 단어로 시끌벅적 한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과한 행동은 삼가 하시기 바랍니다.

    조의금은 미리 준비하여 고인 앞에 인사 드리기 전에 가족 또는 조의함에 전달 하면 됩니다. 

     

     

     

    종교별 조문 예절

    기독교식-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천주교식-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을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도록 합니다.  
    한쪽 무릎을 끓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불교식(유교식포함)-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끓고 앉아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립니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고인의 종교에 따라 장례 절차가 달라지나 본인의 종교 방법으로 조의를 표하면 됩니다. 불교식 장례 절차이나 조문객이 기독교인 경우 절을 하지 않고 목례로 인사를 표현 합니다. 

     

    절하는 방법 (공수법)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갑니다. 
    그러나 흉사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갑니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2번 절 하는 것으로 표준화 되어 있습니다. 

     

     

     

    장례 위로 문자

    직접 방문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먼 발치에서 큰 슬픔에 같이 위로 드리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고인의 슬픔을 함께 나누고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시길 바랍니다.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위로하며, 직접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삼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고인의 별세를 애도 드리며 가족분들의 큰 슬픔을 위로 드립니다. 삼가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부친의 별세를 애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가슴아픈 비보를 전해 들었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장례식장에서 지켜 야 할 예절법과 절 하는 방법, 조문 인사말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문화적인 관습으로 고인에 대한 인사와 남은 가족들을 위로하는 시간이니 진심어린 마음으로 공감 하신다면 유족들에게 큰 힘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